UPDATED. 2025.04.08(화)

장애인 의사소통 지원 위한 경기도형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 개발돼

이성수 CP

2021-11-11 11:25:00

장애인 의사소통 지원 위한 경기도형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 개발돼
[글로벌에픽 이성수 기자]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센터장 강인학)가 1차년도 ‘경기도형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은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뇌병변·발달·언어)의 의사소통 지원 체계로 장애인의 학습, 일상생활, 사회참여,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완대체의사소통의 중요성을 확인한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는 스마트 AAC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보급, 코로나-19 선별 진료를 위한 그림 글자판 개발 및 보급, AAC 솔루션 제공, AAC 전문 교육 등 오랜 기간 보완대체의사소통 전문 사업을 전개해왔다.

이에 센터는 그간 진행해온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업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경기도형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 개발을 착수하여 마침내 1차년도 상징 개발을 완료하였다.

‘경기도형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의 특징은 경기도의 주요 관광지와 경기도를 상징하는 색상을 반영했을 뿐 아니라 사용자 환경과 직관적인 디자인으로 상징체계를 구성했다. 특히 실사화된 그림으로 표정이나 감정 파악이 가능하고 성별 구분을 두어 기존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의 단순함과는 차별화를 뒀다.

올해 개발된 ‘경기도형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은 여가와 관광 영역에서 장애인의 의사소통을 지원할 수 있는 상징으로, 센터는 상징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경기도의 유명 관광지인 한국민속촌과 미팅을 통해 민속촌 관람 과정에서 장애인과 의사소통이 어려웠던 상황 등을 파악하고 개발 어휘를 선정하였다.

개발을 마친 ‘경기도형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은 경기도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한국민속촌 및 경기도 내 관광지 등에 무료로 보급할 계획이다.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강인학 센터장은 “센터는 매해 새로운 주제를 선정하여 경기도를 대표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을 개발하여 경기도민에게 보급할 계획”이라며 “2022년에는 개발된 상징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용 애플리케이션 개발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328.20 ▼137.22
코스닥 651.30 ▼36.09
코스피200 309.60 ▼19.07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19,325,000 ▲1,575,000
비트코인캐시 414,700 ▲2,900
이더리움 2,363,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1,920 ▲170
리플 2,896 ▲55
이오스 1,146 ▲14
퀀텀 2,615 ▲3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19,319,000 ▲1,484,000
이더리움 2,366,000 ▲39,000
이더리움클래식 21,900 ▲150
메탈 989 ▲7
리스크 650 ▲7
리플 2,893 ▲51
에이다 886 ▲17
스팀 171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19,350,000 ▲1,530,000
비트코인캐시 413,400 ▼600
이더리움 2,364,000 ▲39,000
이더리움클래식 21,900 ▲170
리플 2,892 ▲51
퀀텀 2,569 0
이오타 22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