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4.15(화)

‘취임 1주년’ 윤 대통령 지지율 37.5%…부정평가는 60%

방미 평가 ‘긍정’ 55%·‘부정’ 40%…국방·외교 39.8%로 긍정평가 최고

이성수 CP

2023-05-09 10:10:00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4월 26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4월 26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취임 1주년을 앞둔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9일, 37.5%를 기록했다.

연합뉴스와 연합뉴스TV가 여론조사업체 메트릭스에 공동 의뢰해 지난 6∼7일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통령 취임 1주년 여론조사’ 결과, 윤 대통령의 지난 1년간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37.5%, 부정평가는 60%로 각각 집계됐다. 모름 또는 무응답 비율은 2.5%였다.

긍정평가 응답률은 60세 이상(63.4%), 대구·경북(57.3%)에서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지역별로는 강원·제주(46.3%), 부산·울산·경남(43.2%), 대전·세종·충청(41.2%)에서 40%를 넘겼다. 지지 정당을 국민의힘이라고 밝힌 응답자 중 81%가 국정운영에 대해 긍정평가했다.
부정평가는 연령별로 볼 때 30대(75.1%)와 40대(74.7%)에서 높았고, 18∼29세(66%)와 50대(67.3%)는 60%대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82.5%), 인천·경기(64.8%) 등에서 부정 평가가 높았다. 서울은 58.5%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라고 밝힌 응답자 중 93.5%가 부정평가를 내렸다.

분야별 긍정평가는 국방·외교(39.8%), 과학·기술(37.6%), 보건·복지(36.9%), 문화(36.8%), 경제(32.0%) 분야 순이었다.

부정평가는 경제(63.5%) 분야가 60%를 넘어섰으며, 보건·복지(57%), 국방·외교(56.2%), 문화(54%), 과학·기술(52.9%) 순으로 높았다.

한국형 확장억제 방안을 담은 ‘워싱턴 선언’ 채택 등의 결과를 도출한 윤 대통령의 지난달 24∼30일 미국 국빈 방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5.5%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남성(60.5%)과 60세 이상(71.7%), 국민의힘 지지층(90.7%)에서 긍정 평가 비율이 높았다.
반면 40.7%는 국빈 방미를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여성(43.7%), 40대(60.6%), 민주당 지지층(73.4%)에서 이같은 응답이 많았다.

이번 조사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3.1%p(포인트)다. 조사는 무선 전화면접 100%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18.0%였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77.41 ▲21.52
코스닥 711.92 ▲2.94
코스피200 328.14 ▲2.81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4,349,000 ▲343,000
비트코인캐시 484,900 ▼2,100
이더리움 2,379,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2,180 ▲20
리플 3,113 ▲3
이오스 895 ▲4
퀀텀 2,838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4,283,000 ▲203,000
이더리움 2,379,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2,180 ▲20
메탈 1,078 ▼2
리스크 688 ▲0
리플 3,111 ▲2
에이다 935 ▲2
스팀 19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4,270,000 ▲170,000
비트코인캐시 485,200 ▼2,900
이더리움 2,379,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2,160 ▲20
리플 3,113 ▲3
퀀텀 2,813 0
이오타 23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