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4.11(금)

파두, 삼성전자 엔비디아 꺽을 신무기 RISC-V 기술 독립...세계 최초 RISC-V기반 SSD 컨트롤러 개발

증권팀 박진현 CP

2024-04-19 09:39:04

삼성전자가 차세대 반도체 RISC-V 기술 독립으르 선언한 가운데 세계 최초로 리스크파이브(RISC-V)기반 SSD 컨트롤러 개발한 파두의 수혜가 점쳐진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SAIT(옛 종합기술원)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AI 칩 설계 관련 연구 조직인 어드밴스드프로세서랩(APL)을 만들고 차세대 반도체 설계자산(IP)인 리스크파이브(RISC-V) 분야를 중점적으로 개발한다.

RISC-V는 반도체 칩을 디자인할 때 기초가 되는 설계 자산의 일종으로, 영국의 반도체 설계 자산 기업인 암(ARM)이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이 RISC-V를 기반으로 ‘기술 독립’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삼성전자의 목표는 RISC-V를 기반으로 한 자체 AI 칩 설계로 알려져 있다. 삼성은 그동안 ARM 제품을 기반으로 엑시노스 등 최첨단 반도체 칩을 설계해왔지만 앞으로는 설계 기술 독립을 통해 시장 1위인 엔비디아를 뛰어 넘을 생각이다.
한편 파두는 세계 최초로 RISC-V기반 SSD 컨트롤러를 설계하여 업계 최고 수준의 와트 당 IOPS 기록헀다. 파두는 SiFive의 업계 최고의 64비트 E51 ajfxlzhdj RISC0V IP를 사용한 파두의 Annapurna SSD 컨트롤러와 파두의 Bravo시리즈 엔터프라이즈 SSD를 가지고 있다.

파두의 Annapurna SSD 컨트롤러는 세계 최초로 RISC-V기반 SSD 컨트롤러로 동급 제품 대비 최고 수준의 스루풋(throuphput)(3.5GB)과 IOPS(800K)를 지원하면서도 유효 전력은 1.8W이하 수준이다.

파두의 Annapurna를 탑재한 Bravo SSD는 최초로 7mm 저전력 U.2 듀얼포트이며 와트 당 3-4X IOPS로 더 높은 효율성은 물론, 30% 전력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동급 제품군 중 가장 일관성 있는 지연시간(latency)를 제공한다.

이는 혁신적인 설계 기술과 더불어 고사양 플래시 메모리 컨트롤러 그리고, SiFive의 고성능 64비트 내장형 RISC-V 코어 IP를 사용한 덕분이다.

글로벌에픽 증권팀 박진현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32.72 ▼12.34
코스닥 695.59 ▲13.80
코스피200 322.32 ▼2.76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0,485,000 ▼515,000
비트코인캐시 442,800 ▼1,300
이더리움 2,288,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1,960 ▼100
리플 2,946 ▼5
이오스 922 0
퀀텀 2,789 ▼1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0,477,000 ▼493,000
이더리움 2,291,000 0
이더리움클래식 21,940 ▼110
메탈 1,060 ▼5
리스크 676 ▼6
리플 2,948 ▼3
에이다 915 ▼4
스팀 19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0,470,000 ▼600,000
비트코인캐시 444,100 ▼900
이더리움 2,289,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1,920 ▼210
리플 2,947 ▼3
퀀텀 2,795 0
이오타 23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