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통신사를 비롯해 배달의민족과 요기요 등 폴랫폼 사업자들이 잇따라 테이블오더 시장에 뛰어들면서 향후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이 가운데 패스트오더는 차별화된 주문·결제 시장 공략을 위해 대화형 Ai 오더 주문봇“ E-mo(이모)”2025년 상반기 선보일 예정이다.
대화형 Ai 오더 주문봇“ E-mo(이모)는 AI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이 탑재된 차세대 주문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 △대화 맥락을 이해하고 적절한 답변을 생성하는 AI 엔진 △답변을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 △다국어번역기능 △맞춤형메뉴추천 △음성인식 리뷰 △적립포인트/쿠폰활용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방문객 주문 패턴 등 데이터 수집을 통한 고객 맞춤형 메뉴추천과 포인트적립/쿠폰사용으로 서비스 질을 높이고 주문부터 결제까지 E-mo(이모)를 통해 매장 상황별 맞춤형 운영이 가능해져 빠른 매장 회전율은 물론 운영 비용 절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다국어번역기능 또한 국제 사용자들에게도 언어장벽을 해소함으로써 이용자 편의도 크게 높일 수 있다.
특히 중장년층 등 디지털에 익숙하지 않는 소비자가 점원에게 주문하듯 음성으로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으며 노인이나 어린이 등 기술 취약계층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주문 과정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패스트오더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메뉴 선택부터 주문까지 이어지는 단계가 단순해 첫 사용자도 어려움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패스트오더는 최근 제품 개발 및 서비스 품질 향상 등 통합솔루션(Ai + Big data)을 구축했다. 더 나아가 테이블오더기업에서 한단계 성장한 AI 인프라 기술기업으로서의 변화에 속도를 더하고 있다.
패스트오더 관계자는 패스트오더만의 기술과 역량을 활용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사용자 경험(UX)을 기반으로 한 업데이트와 맞춤형 DIY메뉴 디자인 서비스를 도입시켜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컨텐츠 등 트렌드 분석하여 차별화된 디자인, 운영 전략을 제안하고 직관성, 신속성, 편의성, 개인화에 맞춘 서비스를 제안, 구축했으며 AI오더와 새로운 UI/UX를 접목시킨 서빙로봇, 웨이팅 키오스크와 연계한 서비스를 추가로 선보이겠다는 계획이다.
이수환 글로벌에픽 기자 lsh@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