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섬유패션인 신년회 떡케익 컷팅식. 왼쪽부터 한국섬유산업연합회 경세호 전임 회장, 한국섬유산업연합회 최병오 회장, 산업통상자원부 이승렬 실장, 한국섬유산업연합회 이상운 명예회장, 한국섬유산업연합회 노희찬 전임 회장
이미지 확대보기한국섬유산업연합회(회장 최병오)는 1월 7일(화) 17시 섬유센터 3층 이벤트홀에서 정부, 업종별 섬유패션단체 및 주요 기업 CEO 등 각계 인사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섬유패션인 신년인사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실장과 최병오 섬산련 회장을 비롯한 섬유패션업계 관계자가 참석하여 희망찬 출발과 결속을 다지고, 섬유패션산업의 혁신과 발전을 위한 신년사, 초청강연 등이 진행되었다.
최병오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2025년은 섬유패션업계가 지속 가능성과 혁신을 기반으로 새로운 도약을 이뤄내야 할 중요한 시기”라며 친환경 및 디지털 전환, 글로벌 시장 다각화 등을 통해 K-섬유패션의 위상을 더욱 높이고 산업의 새로운 활로를 열어나가자”고 당부했다.
둘째, 파이버 투 파이버 리사이클 기술개발과 EU 디지털 제품 여권(DPP) 도입 등 탄소중립과 순환경제 기반을 조성하고 글로벌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셋째, 우리 기업들이 AI를 활용해 섬유패션 생산·유통 플랫폼의 혁신과, K-섬유패션의 독창적 아이덴티티를 확립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겠다 말했다.
넷째, 지난해 9월 개원한 텍스파 캠퍼스를 통해 현장뿐만 아니라 미래 섬유패션산업을 이끌 수 있는 약 3,000명의 다양한 인재를 적극 양성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기존의 신년 음악회를 대신해 김지윤 박사(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의 “미국 대선 이후 글로벌 정세와 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섬유패션업계 대응 전략”을 주제로 한 초청 강연이 진행되어 업계 리더들에게 글로벌 트렌드와 전략적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섬유패션산업의 힘찬 출발을 위한 신년 인사와 함께 전국의 지역별, 업종별 대표 CEO 인사가 참가해 스트림간 협력과 결속을 다짐하는 자리로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안재후 글로벌에픽 기자/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