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모비스 관계자들이 인도 통합 연구개발(R&D)센터 개소를 기념해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는 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텔랑가나주 하이데라바드에 소프트웨어 전문 통합 연구소를 개소했다고 7일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2007년 인도 연구소를 설립하고 2020년 제2 연구소를 열었다. 이후 소프트웨어 R&D 인력이 늘어나며 이들을 추가 수용하고 분산된 연구 역량을 결집해 시너지를 극대화하고자 통합 R&D센터를 구축하게 됐다.
하이데라바드 중심부에 자리 잡은 통합 R&D센터는 연면적 약 2만4000㎡를 자랑한다. 이 지역은 글로벌 주요 정보기술(IT) 기업이 밀집한 곳으로 우수 소프트웨어 인재 확보에 유리하다. 10층 규모 건물에는 연구 공간과 데이터센터, 시험장과 교육실, 협력사 업무 공간, 임직원 휴게 시설 등이 들어섰다.
특히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대형 디스플레이나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수요도 늘어나는 추세다.
이에 따라 현대모비스는 인도 연구소를 글로벌 수주 증대를 위한 전략 요충지로 삼겠다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인도가 보유한 풍부한 소프트웨어 인적 자원을 바탕으로 제품 원가 경쟁력과 성능, 품질, 기술 수준을 높이고 관련 생태계 조성에 힘을 쏟겠다는 방침이다. 향후 인도 연구소를 독자적인 사업 역량을 갖춘 글로벌 소프트웨어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신규 제품 개발 초기 단계부터 인도 연구소가 참여하고, 현지 차종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는 자체 개발한다. 또한 인공지능(AI)을 R&D에 도입해 업무 생산성을 높이고 소프트웨어 개발 범위를 확대한다.
이종근 현대모비스 인도연구소장(상무)은 "인도 연구소는 개발자 풀이 넓어 새로운 시도가 많이 이뤄지는 곳"이라며 "20여 년에 가까운 양산 차종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고도화를 촉진하고 제품 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현대모비스는 자동차 업계 화두인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분야 주도권을 쥐기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 통합 플랫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현재 운영 중인 마북연구소·의왕연구소 등 국내 연구소와 인도·중국·독일 R&D 거점 이외에 미국 실리콘밸리에 차량용 반도체 연구소를 신설한다는 계획이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