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본격화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비대면 사회가 일상화 된 데다 AR/VR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메타버스 시장은 급부상 중이다. 메타버스가 트렌드가 아닌, 인류 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꿀 거대한 흐름(Big-Wave)이 될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이런 가운데 KAIST(한국과학기술원. 총장 이광형)은 8일 오전 글로벌 포럼을 위한 온라인 전용 오픈 플랫폼에서 Digital bigbang, Metaverse technology를 주제로, GSI-IF(Global Strategy Institute-International Forum)를 열었다. GSI 국제 포럼은 올해 메타버스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새로운 기술이 교육 분야를 포함한 향후 여러 방향에 미칠 영향을 탐구하는 자리로 진행됐다. 글로벌에픽은, KAIST의 도움을 받아 2021 GSI-IF를 총12회에 걸쳐 지상보도한다. <편집자註>
Joseph Ferraro Labster社 부사장은 8일 오전 KAIST 글로벌 포럼을 위한 온라인 전용 오픈 플랫폼에서 초청연사로 참석해 "미래 학습에 능동적 학습 시나리오를 제공하기 위해 게임 기술을 접목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Labster는 120개 이상의 실험과, 5000개 이상의 실험툴을 보유한 메타버스 에듀테크 회사다.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감이나 생각을 불러일으키지 않는 메타버스 교실은 아바타 앞 수업일 뿐이라는 입장이다.
Labster가 구현하려는 메타버스는 더욱 풍요롭고 의미있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인터렉티브한 게임화된 과학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모든 시뮬레이션은 과학자, 커리큘럼 디자이너, 게임 개발자가 개발했고, 고등학교와 대학교 커리큘럼에 맞게 제작 중이다.
유니티(Unity)의 게임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모든 사용자들이 적합한 컴퓨터나 VR헤드셋이 없다는 점을 고려해 기술적 제약에 맞춰 VR기술 뿐 아니라 웹 기반 시뮬레이션을 제공한다.
대학마저도 정교한 실험실 환경이나 장비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Labster는 실험을 완벽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실험실을 제공하는 한편 폐기물 또는 일정에 대한 걱정을 없앨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비행 시뮬레이션(IRL)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Joseph Ferraro 부사장은 "실제 커리큘럼에 맞게 메타버스 교육을 제공하는 데 있어 대학 교육자들과 관계가 아주 중요하다"면서 "메타버스 교육을 통해 비학위, 마이크로학위를 취득하거나 글로벌 대학에서의 학위 취득도 수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플랫폼 역시 무엇을 할 수 있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의견이다. ZOOM과 같은 단순 참여 형태의 수업에서 나아가 학생들이 도전하고 프로그램 목표를 완수할 수 있도록 만들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Joseph Ferraro 부사장은 "교육의 전통적 방식을 고려하고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학생들이 콘텐츠를 직접 요구하도록 발전돼야 한다"면서 "학계는 메타버스 기술을 수용해야 하며, 두려워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2021 GSI-IF(Global Strategy Institute-International Forum)은 배기동 KT 엔터프라이즈, 메타버스 원팀 담당 상무, 이진하 Spatial 공동창업자 및 CPO, Frank Steinicke University of Hamburg 교수, Marco Tempest NASA 추진랩 연구원 및 MIT미디어랩 디렉터 펠로우가 'Metaverse Platform and Virtual Reality'에 대해, 김범주 Unity 코리아 본부장, 우운택 KAIST 교수 및 문화기술대학원장, Joseph Ferraro Labster 부사장, Jussi Kajala 3DBear 창립자 및 CEO가 'Integration of Metaverse Technology into Future Education'에 대해 각각 발표했다.
유경석 글로벌에픽 기자 kangsan0691@naver.com
관련뉴스
- [2021 GSI-IF ⑦]우운택 KAIST 문화기술대학원장 "안경만 착용하면 수업…학교수업과 유사"
- [2021 GSI-IF ⑥]김범주 Unity 본부장 "소셜 커뮤니티로 발전한 메타버스…교육에 변화"
- [2021 GSI-IF ⑤]Marco Tempest NASA 연구원 "사람들 경험 전 사용…본질적으로 마법"
- [2021 GSI-IF ④]Frank Steinicke 교수 "AI와 융합현실 결합‧극대화…생각으로 컴퓨터 작동"
- [2021 GSI-IF ③]이진하 Spatial CPO "디지털로 상호작용…단순협업에서 워크 멀티버스 진화"
- [2021 GSI-IF ②]배기동 KT 상무 "비즈니스 전반 큰 변화…메타버스 생태계 조성해야"
- [2021 GSI-IF ①] 임혜숙 장관 "메타버스, 차세대 네트워크 혁신적 대안…적극 지원"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