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최대한 대출을 끌어 쓴 '다중채무자'가 약 45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다중채무자들은 전체 가계대출자 4명 가운데 1명꼴로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도 약 62%에 달하고 있어, 최저 생계비를 빼고 거의 모든 소득을 원리금 상환에 쏟아부어야 하는 처지로 추정된다.
16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현재 국내 가계대출 차주(대출자) 수는 모두 1천978만명으로 이들의 전체 대출 잔액은 1천845조7천억원에 이른다.
직전 1분기와 비교하면 차주 수와 대출 잔액이 각 1만명, 4천억원 더 늘었다.
다만 1인당 평균 대출잔액은 3개월 사이 9천334만원에서 9천332만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이중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 규모나 비중은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다중채무자는 2분기 말 448만명으로 1분기보다 2만명 늘었다.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수준이다. 다중채무자가 전체 가계대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22.6%)도 사상 최대 수준이다.
이들의 전체 대출 잔액과 1인당 평균 대출액은 각 572조4천억원, 1억2천785만원으로 추산됐다. 3개월 사이 3조3천억원, 113만원 줄었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DSR은 61.5%로, 직전 분기보다 0.5%포인트(p) 감소했지만, 소득의 60%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써야 하는 상황이다.
다중채무자의 연체율도 2분기 말 현재 1.4%로 1분기보다 0.1%p 더 올랐다. 2020년 1분기(1.4%) 이후 3년 3개월 만에 가장 높다.
여러 곳에서 최대한 돈을 끌어 쓰고 소득과 신용도까지 낮은 대출자들의 상환 부담은 더 심각한 수준이다.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취약차주'의 2분기 말 현재 DSR은 평균 67.1%였다. 3개월 사이 0.2%p 상승했고, 2013년 4분기(67.4%) 이후 9년 6개월 만에 최고 기록이다.
취약차주 37.8%(48만명)의 DSR이 70% 이상이었고, 이들의 대출은 전체 취약차주 대출액의 68.2%(64조9천억원)를 차지했다.
2분기 말 현재 전체 가계대출자 가운데 취약차주 수 비중은 6.4%로 집계됐다. 1분기(6.3%)보다 0.1%p 늘어 2020년 4분기(6.4%) 이후 2년 반 만에 가장 컸다.
한은은 최근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작년 하반기 이후 가계대출 연체율이 금융권 전반에서 오르는데, 특히 2020년 이후 취급된 대출의 연체율 상승 압력은 비은행 금융기관에서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성수 글로벌에픽기자 epic@globalepi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