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은행들이 판매한 해외 부동산 펀드에 대한 대규모 손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해외 부동산 펀드 판매 잔액은 총 7천531억원으로 집계됐다.
만기 없는 리츠 펀드 외에 농협을 제외한 은행별로 최소 1천억원 이상의 판매 잔액을 보유하고 있는 가운데, 내년 상반기 도래 규모가 1천61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에는 그보다 더 많은 1천510억원가량의 펀드의 만기가 돌아온다.
해외 부동산 펀드는 투자금을 모아 해외 상업용 부동산 지분을 취득하거나 소유권을 확보한 뒤 임대 수입으로 배당금을 지급하고, 만기 도래 전 자산을 매각해 최종 수익을 내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부동산을 사들인 가격보다 파는 가격이 더 낮은 경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최악의 경우 매각 자체가 안 되면서 '물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문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재택근무 확산에 따른 오피스 공실 증가, 고금리에 따른 부동산 투자 수요 감소 등으로 글로벌 부동신 시장이 얼어붙어 있다는 점이다.
애초 6~7%의 수익률을 목표로 했던 펀드들이 현시점에선 원금 손실마저 우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감정평가액이 떨어진 상황에서 만기 연장이나 리파이낸싱에 실패할 수 있다"며 "저가 매각 시 펀드 손실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한편, 증권사 등 다른 경로로 판매된 잔액은 훨씬 커 손실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 투자 규모는 55조8천억원에 달했다.
해외 부동산 투자 손실이 시스템 리스크를 유발할 정도는 아니지만, 개별 회사의 건전성 위험을 초래할 수는 있다고 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지난 11일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 회의에서 금융감독원에 "(해외 부동산 펀드의) 손실 가능성과 각 금융회사의 대응 상황을 밀착 모니터링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lss@globalepi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