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장기화로 부동산 경기 부진이 이어지면서 부동산·건설 관련 대출 부실에 따른 금융 위기가 갈수록 현실화 되고 있다.
주요 은행권조차 일반 건설업 연체가 빠르게 불어나면서 긴장 속에 대응에 나서고 있는 분위기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건설업종 대출 잔액은 11월 말 현재 모두 23조2천387억원으로, 작년 말(20조3천915억원)과 비교해 14%(2조8천472억원)이 증가했다. 이는 2년전인 2021년 말(15조9천704억원)보다 46%(7조2천683억원) 불어난 수치다.
현재 1천51억원 규모인 연체액의 증가 속도는 더 빠르다. 작년 말(524억원)의 2배 속도다. 2021년 말(330억원)과 비교하면 3.2 배에 이른다.
이에 따라 연체율 역시 2021년 말 0.21%, 2022년 말 0.26%에서 올해 11월에는 0.45%까지 뛰었다.
부동산 PF의 경우 11월 말 기준 5대 은행 잔액은 18조2천404억원 정도다. 올해 들어 26%(3조7천917억원) 더 늘었지만, 연체율은 아직 0%에 가깝다.
은행권 내부에서 최근 건설업종의 빠른 연체율 상승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커지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아직 감당하지 못할 수준은 아니지만, 다른 업종과 비교해 건설업의 연체율이 두드러지게 빨리 높아지는 것은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건설업의 연체율은 2018년 2분기 말(6월 말)의 1.19% 이후 5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작년 3분기 말과 비교해 1년 사이 연체율 상승 폭(0.36%p·0.47→0.83%)도 숙박·음식업(0.50%p·0.27→0.77%)에 이어 두 번째다.
부동산 PF 부문도 안심할 수 없는 상태다. 이에 시중은행에선 PF 관련 부실 위험이 당장 크지는 않지만 부동산 경기가 다시 냉각되는 만큼 선제적 위험 관리에 집중하고 있는 분위기다.
KB국민은행의 경우 6개월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사업장, 부실 징후 사업장 등에 대해 현장 실사 등 강도 높은 주기적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정상 진행 가능성이 큰 사업장의 경우 선별적으로 상환 기간을 연장하고 금리도 낮춰 자구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신한은행도 중점·점검 관리 대상 사업장을 정해 매달 위험성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미 지난해 말부터 PF 심사 가이드라인(침)을 강화했고, PF에 대한 대출 재점검(리뷰)과 기획 감리도 수시로 이뤄지고 있다.
한국은행도 대출의 부동산·건설 관련 부문 부실 가능성 등을 주시하고 있다.
한은 조사 결과 전체 금융기관의 건설업·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은 올해 2분기 현재 1.75% 수준으로, 작년 2분기(0.72%)와 비교해 1년 새 2.4 배로 뛰어올랐다.
한은은 "부동산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건설·부동산업 연체가 꾸준히 발생하면서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며 "향후 부동산 시장의 하방 리스크(위험)를 감안하면 연체율의 추가적 상승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경고했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lss@globalepi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