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단순노무직 취업자가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제조업 경기 침체 영향이 저소득층 일자리에 큰 타격을 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1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단순노무 종사자는 392만7천명으로 전년(404만5천명)보다 11만8천명(2.9%) 감소했다.
이는 통계청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최대 폭이다. 과거 직업 분류 기준까지 포함하면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26만5천명 줄어든 뒤로 가장 감소폭이 크다.
다만 외환위기 당시는 전체 취업자 수가 127만명 줄어드는 등 고용 시장 전체가 패닉 상태였다는 점에서 고용 부진이 일부에 집중된 지난해와 상황이 다르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 수는 전년보다 32만7천명 증가했다.
단순노무직은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지 않은 일자리를 말한다. 흔히 저소득 일자리로 분류된다.
단순노무직은 2018년 5만명 줄어든 뒤로 매년 증가했지만 지난해 5년 만에 큰 폭의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단순노무직 취업자 감소 폭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는데, 이는 지난해 글로벌 교역 위축으로 제조업이 부진했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반도체 중심의 제조업 업황 개선 조짐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감지됐지만 고용 시장 회복은 더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1월부터 11개월 연속 줄다가 12월이 돼서야 1만명 증가세로 전환했다.
단순노무직 일자리 한파는 저소득층 가계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지난해 3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2만2천원으로 전체 소득 5개 분위 가구 중 유일하게 감소(-0.7%)했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lss@globalepi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