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유 물가 상승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우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발효유·치즈·아이스크림 등의 유제품도 물가 상승률이 기록적인 수준을 보였다.
1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우유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18.13으로 전년 대비 9.9% 상승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9년(19.1%) 이후 14년 만의 최고치 수준으로, 지난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3.6%)과 비교하면 2.8배 수준이다.
우유와 마찬가지로 유제품도 물가 상승률은 정점을 찍었다.
지난해 발효유 물가 상승률은 12.5%로 1981년(18.4%) 이후 42년 만에 가장 높았다. 치즈는 19.5%로 2008년(22.0%) 이후 15년 만의 최고였다.
치즈 물가가 20% 안팎 수준으로 오른 것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시절인 1998년(27.5%)과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22.0%)에 이어 지난해 정도다.
아이스크림 물가 상승률도 10.8%로 2008년(14.4%) 이후 15년 만의 최고치를, 분유는 6.8%로 2014년(7.15)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았다.
우유 관련 제품의 물가가 크게 오른 것은 우유의 원료가 되는 원유 가격이 인상된 이후 유업체들이 이를 계기로 흰 우유와 유제품 가격을 일제히 인상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 서울우유는 흰 우유 제품인 '나100%우유'(1L) 출고가를 대형 할인점 기준으로 3% 인상해 대형마트에서 해당 제품 가격은 2천900원대로 올라 3천원 선에 근접했다.
매일유업과 남양유업, 동원F&B 등도 유제품 가격을 올렸고 롯데웰푸드와 빙그레, 해태아이스크림 등 빙과업체는 아이스크림 가격을 일제히 인상했다.
올해는 지난해와 같은 기록적인 수준의 우유 물가 상승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지난해보다 생산비 변동 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서다.
통상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낙농진흥회는 통계청이 매년 5월 말께 발표하는 원유 생산비를 보고 변동 폭이 ±4% 이상이면 협상을 통해 그해 원유 가격을 조정한다. 그러나 올해는 생산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료 가격이 대체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중동 및 우크라이나 국제 정세와 수입 물가 가격 변동에 따라 사료 가격이 다시 오를 변수도 남아있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lss@globalepi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