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4.23(수)

코젠트바이오사이언시즈(COGT), 임상 시험에서 긍정적인 데이터 발표

미국증권거래소 공시팀

2024-12-10 06:20:24

코젠트바이오사이언시즈(COGT, Cogent Biosciences, Inc. )는 임상 시험에서 긍정적인 데이터를 발표했다.

9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24년 12월 8일, 코젠트바이오사이언시즈(이하 회사)는 고급 전신 비만세포증 환자에서 베주클라스티닙을 평가하는 진행 중인 2상 APEX 임상 시험의 긍정적인 업데이트 데이터를 발표했다.

이 데이터는 2024년 12월 7일부터 10일까지 샌디에이고에서 개최된 제66회 미국혈액학회(ASH 2024) 연례 회의에서 발표됐다.

2024년 12월 9일, 회사는 비고급 전신 비만세포증 환자에서 베주클라스티닙을 평가하는 진행 중인 2상 SUMMIT 임상 시험의 긍정적인 업데이트 임상 데이터를 발표했으며, 이 데이터 또한 ASH 2024에서 발표됐다.
2상 APEX 시험은 전신 비만세포증 환자를 대상으로 베주클라스티닙의 안전성, 효능, 약리학적 및 약리역학적 프로필을 평가하는 글로벌, 개방형, 다기관, 2부로 구성된 임상 시험이다.

1부에서는 32명의 환자가 50mg BID, 100mg BID, 200mg BID 또는 400mg QD의 네 가지 용량 중 하나로 치료받았다.

올해 초, 회사는 APEX 2부가 최적화된 150mg QD 용량에서 진행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이는 APEX 1부에서 100mg BID 용량의 노출과 밀접하게 일치한다.

연구 시작 시 환자의 중간 연령은 68세였으며(33세에서 87세 사이), 환자들은 공격성 전신 비만세포증(ASM) 환자 7명, 관련 혈액종양을 동반한 전신 비만세포증(SM-AHN) 환자 23명, 비만세포 백혈병(MCL) 환자 2명으로 등록됐다.5명의 환자는 이전에 아바프리티닙을, 10명의 환자는 이전에 미도스타우린 치료를 받았다.

2024년 10월 11일 데이터 마감일 기준으로, 등록된 32명의 환자가 임상 활동의 징후를 평가받았으며, 이 중 27명이 mIWG-MRT-ECNM 평가 가능 환자였다.

용량 수준에 따라 분석된 임상 활동은 100mg BID 집단에 초점을 맞추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52%의 객관적 반응률(ORR)(CR+CRh+PR+CI)로 mIWG-MRT-ECNM 기준에 따라 평가됐으며, TKI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에서는 61%의 ORR을 보였다.100mg BID 용량 집단에서 치료받은 환자들은 83%의 ORR을 보였다.

순수 병리학적 반응(PPR) 기준에 따라 88%의 ORR(CR+PR)을 보였으며, 100mg BID 용량 집단에서는 100%의 ORR을 기록했다.

반응을 달성하는 데 걸린 중간 시간은 2.2개월이었으며, 반응의 중간 지속 시간은 아직 도달하지 않았다.

중간 무진행 생존기간(PFS)은 20개월의 중간 추적 관찰에서 아직 도달하지 않았으며, 24개월 시점에서 PFS 비율은 82%였다.거의 모든 환자는 질병 부담과 관련된 바이오마커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기준선 이후 바이오마커 데이터가 없는 환자는 관련 분석에서 제외됐다.

94%의 환자가 혈청 트립타제 수치에서 50% 이상의 감소를 달성했으며, 2회 이상의 사이클을 받은 환자 중 100%가 50% 이상의 감소를 보였다.

66%의 환자가 혈청 트립타제가 20ng/mL 이하로 감소했으며, KITD816V 양성 환자 중 93%가 KIT D816V 변이 대립유전자 비율(VAF)에서 50% 이상의 감소를 보였다.

평가 가능한 환자 중 100%가 골수 비만세포 부담에서 50% 이상의 감소를 달성했으며, 중앙 검토에 의해 83%가 비만세포 집합체의 완전 제거를 달성했다.

2024년 10월 11일 데이터 마감일 기준으로, 베주클라스티닙은 용량에 따라 차별화된 안전성 및 내약성 프로필을 지속적으로 보여줬다.대부분의 혈액학적 부작용은 저등급이며 가역적이었다.ASH 2023 이후 새로운 치료 관련 중대한 부작용이나 중단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혼란스러운 의학적 문제로 인해, 이전에 DILI로 보고된 한 환자는 재평가됐으며, Grade 4 감마-글루타밀 전이효소(GGT) 상승 사례로 보고됐다.

12명의 환자가 용량 감소가 필요했으며, 이 중 8명은 400mg의 일일 용량으로 치료받았다.

회사는 현재 APEX 2부에 환자를 적극적으로 등록하고 있으며, 2025년 1분기 내에 등록을 완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2025년 중반에 주요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2상 SUMMIT 시험은 비고급 전신 비만세포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등록 지향, 무작위, 이중 맹검, 위약 대조, 글로벌 다기관 임상 시험이다.

SUMMIT 1부에서는 환자들이 12주 동안 베주클라스티닙 또는 위약을 받아 시험의 주요 부분인 SUMMIT 2부에서 사용할 권장 용량을 결정했다.올해 초, 회사는 권장 용량으로 하루 100mg이 선택됐다고 발표했다.

초기 12주 기간 이후, 모든 환자는 SUMMIT 오픈 라벨 확장(OLE)에서 베주클라스티닙을 받을 기회를 가졌다.

ASH 2024에서 발표된 임상 결과는 OLE에서 하루 100mg 용량의 베주클라스티닙으로 치료받은 27명의 환자에 초점을 맞췄다.

연구 시작 시 환자의 중간 연령은 52세였으며(36세에서 76세 사이), 한 명의 환자가 이전에 아바프리티닙을 받았다.

SUMMIT 환자들은 24주 동안 여러 PRO 측정을 사용하여 임상 활동의 징후를 평가받았으며, 여기에는 비만세포증 증상 심각도 일일 일지(MS2D2)와 비만세포증 삶의 질(MC-QoL) 척도가 포함됐다.

ASH 2024에서 발표된 업데이트된 임상 데이터는 24주 동안 총 증상 점수(TSS)에서 56%의 평균 개선을 보여줬다.

76%의 환자가 MS2D2 TSS에서 기준선 대비 50% 이상의 감소를 보였으며, 88%의 환자가 기준선 대비 30% 이상의 감소를 초과했다.MC-QoL 총 점수에서 49%의 평균 개선이 나타났다.

24주 치료 시점에서 31%의 환자가 이미 최선의 지지 치료(BSC) 약물을 줄이거나 중단했다.

베주클라스티닙은 24주 치료 기간 동안 혈청 트립타제 수치에서 빠르고 깊으며 지속적인 감소를 보였다.

4주 치료 시점에서 89%의 환자가 혈청 트립타제 수치에서 50% 이상의 감소를 보였으며, 기준선 트립타제가 20ng/mL 이상인 환자 중 95%가 24주 시점에서 20ng/mL 이하로 감소했다.

기준선 혈청 트립타제가 11.4ng/mL 이상인 환자 중 84%가 24주 시점에서 11.4ng/mL 이하로 감소했다.

2024년 8월 29일 데이터 마감일 기준으로, 베주클라스티닙 치료의 중간 기간은 활성군 환자에서 56주, OLE로 전환된 위약 환자에서 40주였다.

치료로 인한 부작용은 대부분 저등급이며 가역적이었으며, 치료 관련 출혈이나 인지 장애 사건은 보고되지 않았다.가장 일반적인 치료 관련 부작용은 모발 변색과 트랜스아미나제 상승이었다.트랜스아미나제가 상승한 모든 환자는 무증상이었으며 가역적이었다.

5명의 환자는 용량 조정 없이 해결됐고 연구를 계속 진행하고 있으며, 2명의 환자는 용량 감소로 해결됐고 연구를 계속 진행하고 있으며, 이 중 한 명은 원래 용량으로 증가했다.2명의 환자는 중단 후 해결됐으며, 이 중 한 명은 이전에 ASH 2023에서 발표됐다.부작용으로 인한 중단 사례는 없었다.

회사는 2024년 12월 9일 등록 지향 SUMMIT 2부 연구의 등록이 완료됐다고 발표했다.

2024년 2월부터 10월까지의 9개월 동안, 265명의 비고급 전신 비만세포증 환자가 70개의 임상 사이트에서 SUMMIT 2부를 위해 스크리닝됐으며, 이들은 주로 미국과 서유럽에 집중됐다.이들 환자의 90% 이상이 KIT 억제제 치료를 받지 않았다.총 179명의 환자가 등록됐으며, 시험의 주요 결과는 2025년 7월에 발표될 예정이다.

이 현재 보고서는 1995년 사모증권소송개혁법의 의미 내에서 미래 예측 진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회사가 APEX 2부 등록을 2025년 1분기에 완료하고 2025년 중반에 주요 데이터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과 SUMMIT 2부의 주요 결과를 2025년 7월에 발표할 것으로 예상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예상하다", "믿다", "계속하다", "할 수 있다", "추정하다", "기대하다", "의도하다", "할 수 있다", "계획하다", "잠재적", "예측하다", "프로젝트하다", "해야 한다", "목표", "할 것이다", "할 수 있다"와 같은 단어의 사용은 미래 예측 진술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미래 예측 진술은 역사적 사실이나 미래 성과에 대한 보장이 아니다.

대신, 이는 회사의 현재 신념, 기대 및 가정에 기반하고 있으며, 회사의 사업, 향후 계획 및 전략, 회사의 임상 결과, 회사의 임상 시험 등록률 및 기타 미래 조건에 대한 것이다.

새로운 위험과 불확실성이 수시로 발생할 수 있으며, 모든 위험과 불확실성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미래 예측 진술의 정확성에 대한 어떠한 표현이나 보증(명시적 또는 묵시적)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회사는 실제로 미래 예측 진술에서 공개된 예측이나 이정표를 달성하지 못할 수 있으며, 투자자들은 이러한 미래 예측 진술에 과도한 의존을 두지 말아야 한다.

이러한 미래 예측 진술은 회사의 가장 최근 연례 보고서(Form 10-K), 분기 보고서(Form 10-Q) 및 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된 이후의 문서에 명시된 "위험 요소" 제목 아래의 여러 중대한 위험과 불확실성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모든 미래 예측 진술은 해당 진술이 이루어진 날짜에만 해당하며, 회사나 그 계열사, 고문 또는 대표자는 새로운 정보, 미래 사건 또는 기타 이유로 인해 공개적으로 미래 예측 진술을 업데이트하거나 수정할 의무를 지지 않는다.

이러한 미래 예측 진술은 이 날짜 이후 회사의 견해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 본 컨텐츠는 AI API를 이용하여 요약한 내용으로 수치나 문맥상 요약이 컨텐츠 원문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해당 컨텐츠는 투자 참고용이며 투자를 할때는 컨텐츠 원문을 필히 필독하시기 바랍니다.

미국증권거래소 공시팀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86.64 ▼1.78
코스닥 716.12 ▲0.67
코스피200 328.61 ▼0.70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0,680,000 ▲535,000
비트코인캐시 510,500 ▼5,000
이더리움 2,430,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3,170 ▼190
리플 3,087 ▲2
이오스 936 ▼8
퀀텀 3,110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0,650,000 ▲405,000
이더리움 2,432,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3,250 ▼100
메탈 1,200 0
리스크 746 ▼3
리플 3,086 ▲3
에이다 943 ▲3
스팀 20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0,650,000 ▲450,000
비트코인캐시 510,500 ▼5,000
이더리움 2,430,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3,170 ▼160
리플 3,085 ▲3
퀀텀 3,110 ▲6
이오타 25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