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2.22(토)

경기도 AI 돌봄, 발달장애인센터 5개로 확대

경기도, 20일 발달장애인 AI 영상분석 및 컨설팅 사업 착수보고회 개최

글로벌에픽 이정훈 기자 /

2025-02-21 09:11:30

경기도 제공
경기도 제공
경기도는 20일 광교 경기도청사에서 ‘2025년 발달장애인 AI(인공지능) 영상분석 및 컨설팅 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발달장애인 AI 영상분석 및 컨설팅 사업’은 AI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해 돌봄 현장 내 발달장애인의 도전행동(돌발행동)을 자동으로 기록, 통계화하고 행동 중재 컨설팅을 제공하는 것이다. AI를 활용해 기록된 자녀의 돌봄 정보는 보호자의 휴대전화로 전달되며,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자녀의 도전행동 영상도 센터에 전달할 수 있다.

기존에는 돌봄교사가 수기로 작성해 온 도전행동 데이터를 AI가 실시간으로 분석·제공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돌봄 환경을 조성하며, 가족과 돌봄교사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번 보고회에는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을 비롯해 장애인자립지원과 등 경기도 관계자와 사업 수행사 및 사업 대상기관 관계자가 참석해 사업 추진 방향과 주요 내용을 공유했다.

도는 작년 안산 2곳, 의왕 1곳 등 발달장애인센터 3곳에 AI 돌봄 시스템을 설치한 데 이어, 올해는 의정부 1곳과 남양주시 1곳에 신규 설치를 지원한다.

신규 센터 2곳에는 CCTV 및 AI 기반 돌봄 시스템이 설치되며, 기존 센터는 시스템 운영의 안정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이 이뤄진다. 또한, 행동 중재 전문가의 대면 및 비대면 컨설팅이 제공돼 보호자와 돌봄 종사자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사업에 참여하는 돌봄교사와 보호자는 AI 돌봄 시스템을 활용한 한국ABA행동발달연구소의 행동 중재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원격 플랫폼을 통한 전문가 상담도 가능하다. 아울러 만족도 조사와 효과성 분석을 통해 서비스 개선 방향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행동중재 컨설턴트 김유나 소장은 “지난해 AI 돌봄 시스템을 활용한 행동중재 컨설팅 진행 결과, 발로 차기와 때리기 등 목표로 했던 도전행동 외에도 심한 공격, 자해 등 다양한 도전행동이 전반적으로 감소했다”고 말했다.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은 “급속한 AI 기술 발전으로 돌봄 서비스가 발달장애인 삶의 질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면서 “발달장애인의 행동 데이터를 축적하고 AI 돌봄 모델을 고도화해 기존에 지원이 어려웠던 분야까지 AI 돌봄이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글로벌에픽 이정훈 기자 / smedail@daum.net]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54.58 ▲0.52
코스닥 774.65 ▲6.38
코스피200 351.92 ▼0.23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2,140,000 ▲400,000
비트코인캐시 465,400 ▲200
비트코인골드 5,100 ▼90
이더리움 3,940,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9,860 ▼110
리플 3,783 ▲13
이오스 914 ▲1
퀀텀 4,570 ▲2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2,240,000 ▲494,000
이더리움 3,942,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9,850 ▼100
메탈 1,413 ▼5
리스크 1,105 ▲4
리플 3,788 ▲14
에이다 1,127 0
스팀 246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2,270,000 ▲600,000
비트코인캐시 466,300 ▲2,500
비트코인골드 3,610 ▼80
이더리움 3,942,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9,930 ▲140
리플 3,790 ▲19
퀀텀 4,568 0
이오타 32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