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4.15(화)

‘Middle East Energy 2025’, UAE 두바이서 개막…글로벌 에너지 외교 허브로 부상

역대 최대 규모…재생에너지·플라스틱 순환경제·에너지 기반 의료기술 협력 논의

황성수 CP

2025-04-09 10:16:50

사진제공 : 미들이스트 인베스트먼트

사진제공 : 미들이스트 인베스트먼트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에픽 황성수 CP] 중동 에너지 산업의 전략적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세계적인 에너지 산업 박람회인 ‘Middle East Energy 2025’가 성황리에 개막했다.

이번 행사는 재생에너지, 플라스틱 순환경제, 에너지 기반 의료기술 등 차세대 에너지 산업을 주제로 한 국제 협력의 장으로,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지며 글로벌 산업 외교 플랫폼으로서의 위상을 다시금 입증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중국 중앙정부의 고위급 대표단이 참석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대표단은 부부장급 및 부서기장급 인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바이 통치자이자 UAE 부통령 겸 총리인 셰이크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 막툼 총리와의 공식 회담을 통해 중동 에너지 산업과의 전략적 연계 방안을 논의했다.

이 회담에는 브루스 정(Bruce Jeong) 미들리스트 인베스트먼트(Middle East Investment) 의장도 동석해 주목을 받았다. 그는 알 막툼 총리 및 중국 고위 대표단과 함께 기념 촬영을 진행하고, 고위급 라운드테이블에도 공식 초청받아 참석했다.
브루스 정 의장은 중동에너지협회의 전략 파트너 자격으로 박람회에 참여했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중동 내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의 초청 배경에는 지난 2024년 샤르자(Sharjah) 알카시미 왕세자와의 인연이 있다. 그는 당시 왕세자를 일본과 한국에 공식 초청하여 전략 회의를 주도했고, 이를 계기로 왕세자의 추천을 받아 이번 공식 초청으로 이어졌다.
사진제공 : 미들이스트 인베스트먼트

사진제공 : 미들이스트 인베스트먼트



중동에너지협회 관계자는 “브루스 정 의장은 2023년부터 사우디아라비아 국방부 산하 산업기관 SAMI(Saudi Arabian Military Industries)와 협력하며 아시아 주요 에너지 및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기업들을 성공적으로 중동 시장에 유치한 인물”이라며, “이번 박람회를 통해 그의 글로벌 중개 능력이 다시 한번 입증됐다”고 전했다.

브루스 정 의장은 특히 일본, 중국, 이스라엘 등 주요 국가의 첨단 재생에너지 및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기술 보유 기업들을 UAE 및 GCC(걸프협력회의) 국가들과 연결하며, 실질적인 프로젝트 실행까지 중재한 바 있다. 이 같은 활동은 중동 내 지속가능 기술 생태계 확산과 에너지 인프라 전환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는 평가다.

한편, 중국 대표단을 이끈 리쥬호웅 부서기는 “Middle East Energy 2025는 단순한 전시회를 넘어, 글로벌 에너지 거버넌스를 논의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지속가능성과 전략적 산업 협력의 가교로서 그 역할을 계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이번 박람회는 중국과 UAE뿐 아니라 아시아 및 유럽까지 잇는 다자간 에너지·의료·리사이클링 기술 협력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중국은 향후에도 이러한 전략적 연계를 기반으로 글로벌 에너지 질서 재편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글로벌에픽 황성수 CP / hss@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77.41 ▲21.52
코스닥 711.92 ▲2.94
코스피200 328.14 ▲2.81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978,000 ▲343,000
비트코인캐시 484,100 ▲2,900
이더리움 2,384,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2,150 ▲170
리플 3,107 ▲3
이오스 891 ▼1
퀀텀 2,831 ▲1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982,000 ▲284,000
이더리움 2,380,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2,140 ▲160
메탈 1,078 ▲6
리스크 687 ▲3
리플 3,107 ▲5
에이다 932 ▲4
스팀 194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4,050,000 ▲340,000
비트코인캐시 484,600 ▲4,100
이더리움 2,382,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2,100 ▲200
리플 3,108 ▲6
퀀텀 2,813 ▼39
이오타 23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