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4.15(화)

두나무 송치형 회장, "글로벌 연구 경쟁력 빛낸다"

황성수 CP

2025-04-09 17:25:00

[글로벌에픽 황성수 CP] 두나무 창업자 송치형 회장이 서울대학교 '대학 기업가 정신 토크콘서트'에서 “무엇인가 하기로 결정했다면 반드시 문제를 풀어 답을 찾아야 한다”며 도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그는 성공 확률을 고려하지 말고 위험을 감수해야 한계까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송 회장은 연구 환경 조성과 인재 양성에 진심을 보이고 있으며, 기술 혁신을 지속하기 위해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그는 2021년 8월 서울대학교 발전기금 기탁 당시 "젊은 인재들의 성공 창업의 꿈을 실현하는 데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고 언급하며 후학 양성에 대한 지원 의지를 밝혔다.
두나무의 연구에 대한 열정은 최근 연구 활동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두나무는 2024년 3분기 누적 기준 연구개발비용으로 약 364억 원을 사용했으며, 이는 영업 수익 대비 3.72%에 해당하는 수치다. 최근 두나무의 머신러닝팀은 세계적인 전산언어학술대회인 '콜링2025'에서 본사 머신러닝팀의 텍스트-SQL 변환 관련 연구 논문을 발표해 기술적 우수성을 입증했다.

이동준 두나무 머신러닝팀장은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의 ADNEC(Abu Dhabi National Exhibition Centre)에서 열린 올해 콜링 메인 콘퍼런스에서 두나무가 개발한 텍스트-SQL 변환 모델의 연구 성과를 직접 발표했다. 발표된 논문의 제목은 ‘MCS-SQL: 텍스트-SQL 변환에서 다중 프롬프트와 다지선다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해당 논문은 LLM(대규모 언어 모델) 기반의 텍스트-SQL 변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했다.

기존 LLM은 질문 방식이나 문장 배치 순서 등에 따라 답변이 일관되지 않게 출력되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예를 들어 “A와 B는 같은 뜻인가요?”와 “B와 A는 같은 뜻인가요?”라는 문장이 사실상 동일한 질문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답변을 내놓는 경우가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나무 머신러닝팀은 다중 프롬프트 기법을 도입해 여러 SQL 후보를 생성한 뒤 최적의 SQL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이 기법은 기존 LLM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동시에 향상시켰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했으며, 2024년 1월 텍스트-SQL 변환 측정 벤치마크인 BIRD-SQL 글로벌 리더보드에서 1위를 기록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두나무 머신러닝팀은 2024년 11월 '콜링2025'에서 금융 허위정보 탐지 챌린지(FMD)에서 1위를 차지했다. FMD 챌린지는 금융 데이터에서 허위 정보를 탐지해 정확한 분석을 제공하는 기술력을 평가하는 과제로,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는 금융 관련 허위 정보의 심각성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두나무 머신러닝팀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해 허위 정보를 탐지하는 정확도인 F1을 비롯해 허위 정보 판별 근거를 평가하는 로그(ROUGE) 등 모든 지표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리더보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챗 GPT 등 상용화된 대규모 언어 모델을 사용하지 않고, 오픈소스 LLM을 직접 개조해 1위를 달성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금융 시장에서 잘못된 정보가 확산될 경우 투자자의 판단을 흐릴 수 있어 이를 사전에 차단하는 능력은 중요한 연구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AI가 잘못된 정보를 생성하는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문제와도 연결되어 FMD 챌린지는 최근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연구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렇듯 송치형 회장의 연구에 대한 도전정신은 두나무를 글로벌 연구 무대에서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성장시키고 있다. 세계적인 연구 기관 및 기업들이 블록체인과 금융 기술을 주목하는 가운데, 두나무의 연구 성과가 앞으로 어떻게 성장해 나갈지 추후 행보가 기대된다.

[글로벌에픽 황성수 CP / hss@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77.41 ▲21.52
코스닥 711.92 ▲2.94
코스피200 328.14 ▲2.81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996,000 ▲213,000
비트코인캐시 485,400 ▲2,100
이더리움 2,383,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2,190 ▲160
리플 3,112 ▲13
이오스 889 ▼1
퀀텀 2,831 ▲1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950,000 ▲260,000
이더리움 2,381,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2,150 ▲130
메탈 1,075 ▲4
리스크 686 ▲4
리플 3,110 ▲10
에이다 934 ▲7
스팀 19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4,010,000 ▲230,000
비트코인캐시 484,500 ▲300
이더리움 2,381,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2,160 ▲150
리플 3,111 ▲9
퀀텀 2,813 0
이오타 23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