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4.18(금)

휠라홀딩스, '미스토'로 새 출발... 본업 턴어라운드 가능한가?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4-10 12:18:03

휠라의 새이름 '미스토홀딩스'.

휠라의 새이름 '미스토홀딩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휠라홀딩스가 '미스토홀딩스'로 사명을 변경하고 멀티브랜드 지주회사로 본격 전환한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휠라홀딩스는 지난해 4분기 연결 매출 8,614억원(YoY 13%), 영업적자 360억원을 기록했다. 부진한 실적의 주요 원인은 휠라 미국에서 발생한 418억원의 영업손실이다.

하나증권 서현정 애널리스트는 "휠라 미국은 작년 11월부터 영업 중단을 결정함에 따라 구조조정 및 보유 재고 소진 비용 등이 발생했다"며 "4분기에만 관련 비용 약 111억원이 인식되면서 적자가 불가피했다"고 분석했다.

반면, 휠라 코리아는 비우호적 영업환경에도 고정비 절감 노력이 지속됨에 따라 영업적자 폭이 크게 축소됐다. 중국 부문(DSF)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 고성장하며 이익기여도를 높였고, 아큐시네트(Acushnet) 역시 매출이 15% 신장하며 양호한 실적을 보였다.
휠라홀딩스는 2025년 가이던스와 함께 사명 변경 계획도 발표했다. 2025년 연결 기준 매출은 0~5%,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5~35% 증가를 목표로 제시했다. 아큐시네트를 제외한 별도 사업부문(미스토) 매출은 -10~0%, 영업이익 500~600억원 수준을 전망하고 있다.

서현정 애널리스트는 "2025년 휠라 연결 매출은 4조 4,189억원(YoY 4%), 영업이익은 4,882억원(YoY 35%)으로 추산한다"며 "그동안 적자였던 본업에서 이익 턴어라운드가 명확히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휠라 사업부문의 영업이익이 2024년 -403억원에서 2025년 453억원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회사명 '미스토홀딩스'는 이탈리아어로 '혼합된', '다양함'을 의미한다. 미스토 사업에는 기존 휠라 브랜드 사업 외에 국내 인디브랜드 라이선스 및 브랜드 MD(유통) 부문이 포함된다. 현재 3마(마르디/마뗑킴/마리떼) 중화권 유통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50개 이상 매장을 오픈한 상태다.

하나증권은 "브랜드 유통은 특성상 수익성 개선의 한계와 브랜드 이탈 우려 등이 존재한다"면서도 "단일 브랜드 회사에서 다양한 지역/브랜드/채널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는 브랜드 지주회사로 전환되는 점은 실적의 안정성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향후 매출 성장이 가시화될 시 추세적 주가 모멘텀 확보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81.92 ▲11.51
코스닥 713.86 ▲2.11
코스피200 328.14 ▲1.84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608,000 ▼31,000
비트코인캐시 475,400 ▲100
이더리움 2,289,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1,900 ▲180
리플 2,969 ▲3
이오스 895 ▲5
퀀텀 2,957 ▲3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700,000 ▼32,000
이더리움 2,292,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1,900 ▲180
메탈 1,156 ▲4
리스크 721 ▲2
리플 2,972 ▲3
에이다 886 ▲1
스팀 211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710,000 ▲20,000
비트코인캐시 476,500 0
이더리움 2,293,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1,950 ▲210
리플 2,971 ▲4
퀀텀 2,939 ▲37
이오타 22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