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4.18(금)

트럼프 미중 관세 전쟁 심화... SK증권 "LG전자, 삼성 갤럭시폰 반사 수혜 기대"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4-10 14:02:55

트럼프 미중 관세 전쟁 심화... SK증권 "LG전자, 삼성 갤럭시폰 반사 수혜 기대"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미국과 중국 간 무역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SK증권은 일부 한국 기업들의 반사이익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전망했다.

지난 9일(미국 현지시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비보복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2018년에 시작된 미중 무역분쟁이 재점화되며 심화 국면에 진입했다.

SK증권 리서치센터는 "미국은 중국과의 불확실성은 더 커졌고, 그 외 국가들과의 마찰은 완화됐다"며 "트럼프 행정부 1기 당시 미중분쟁 반사수혜 경험을 통해 피해와 수혜 기업군을 찾아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리서치센터는 우선 미중 무역갈등으로 타격을 입을 기업군으로 ▲중국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업체 ▲미국 기업 중 중국에 생산을 위탁한 업체 ▲전반적인 IT 산업 등을 꼽았다.
"중국 세트 메이커 및 OEM/ODM 제조사들은 피해가 불가피하다"며 "중국 IT 제조의 핵심은 낮은 원가를 기반으로 한 가격 경쟁력인데, 관세 부과로 중국 지방정부의 CAPEX 지원과 유통보조금 효과가 희미해진다"고 설명했다.

또한 "미국 플랫폼들의 대다수는 제조를 아시아 국가에 위탁하고 있는데, 특히 애플의 아이폰은 지난해 생산 물량의 87%를 중국에서 생산한 것으로 추산된다"며 "애플이 올해 중국에서의 생산비중을 약 5%p 낮추겠다고 하나 쉽지 않아 아이폰의 원가상승이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반면, SK증권은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반사수혜가 예상되는 기업군도 있다고 분석했다. 리서치센터는 "트럼프 행정부 1기 당시 중국 규제는 2018년과 2019년 주식시장에 불확실성으로 작용했지만, 중국과 직접 경쟁하는 한국 IT 하드웨어 기업들, 특히 단순 조립과 모듈 분야에서는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는 기회가 됐다"고 설명했다.

수혜가 예상되는 기업군으로는 먼저 TV·가전 분야를 꼽았다. 리서치센터는 "미국 TV, 가전 시장은 한국과 중국 기업들이 양분하고 있다"며 "TV의 경우 한국 기업들이 약 40%, 중국기업들이 약 50%를 점유하는데, LG전자가 관련 기업"이라고 소개했다. 특히 LG전자는 미국 지역 매출 비중이 30%에 달하고, 중국 지역 매출은 미미하다. 미국에 TV·가전을 수출하는 제조공장 또한 대부분 중국 이외 지역에 있다.

두 번째 수혜 분야로는 갤럭시 및 스마트폰 부품주를 지목했다. "중국에 대한 100% 이상의 관세는 상상하기 어렵지만, 이행된다면 애플은 피해가 클 것"이라며 "미국에서 아이폰(점유율 45%)에 이은 두번째 브랜드는 삼성 갤럭시(점유율 25%)로, 미국 스마트폰 시장 규모는 2024년 1억대였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갤럭시 및 한국 부품 밸류체인에 가장 중요한 시장이다.

세 번째로는 MLB 기판에 대한 관심을 권고했다. MLB 기판 공급부족의 시작은 2020년의 미중분쟁이었으며, 향후 쇼티지 심화가 예상된다. 그러면서 "국가적 배제에도 불구하고, 미국 플랫폼 또는 장비 기업들은 여전히 간접적으로 중국으로부터 MLB 기판 부족분을 수입 중"이라고 분석했다. 관련 국내 기업으로는 이수페타시스를 언급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84.88 ▲14.47
코스닥 716.79 ▲5.04
코스피200 328.61 ▲2.31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615,000 ▲74,000
비트코인캐시 476,200 ▼200
이더리움 2,289,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2,020 0
리플 2,991 ▲9
이오스 907 ▲9
퀀텀 2,992 ▲3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607,000 ▲42,000
이더리움 2,289,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000 ▼20
메탈 1,183 ▲14
리스크 742 ▲7
리플 2,991 ▲11
에이다 892 ▲3
스팀 217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700,000 ▲180,000
비트코인캐시 475,000 ▼1,800
이더리움 2,289,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2,020 0
리플 2,993 ▲10
퀀텀 2,947 0
이오타 22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