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4.17(목)

두산로보틱스,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 진출

"가용 자원 총동원해 시장 선점 성과 낼 것"

안재후 CP

2025-04-15 09:24:15

김민표 두산로보틱스 대표 ⓒ두산로보틱스

김민표 두산로보틱스 대표 ⓒ두산로보틱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두산로보틱스(454910)가 올해를 새롭게 도약할 원년으로 삼고 인공지능(AI) 중심 기술 혁신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조직 개편과 인수합병(M&A)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김민표 두산로보틱스 대표는 14일 경기 성남시 분당두산타워에서 열린 임직원 타운홀 미팅을 통해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김 대표는 하드웨어 중심으로 편재된 사업을 지능형 로봇 솔루션으로 전환하고 인간형 로봇 기술 확보를 위한 투자도 병행하겠다고 선언했다.

김 대표는 "협동로봇 시장을 넘어 성장 잠재력이 더욱 큰 지능형 로봇 시장에서 톱티어(최상위 기업)가 되기 위해 기술 혁신으로 제품 초격차를 이끌어 내고, 고객에게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면서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고 실행 중심 조직 문화를 정착시켜 혁신을 이어가자"고 강조했다.

두산로보틱스가 도전장을 낸 지능형 로봇 솔루션은 협동로봇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AI를 통합한 형태로 설치 후 바로 운영할 수 있는 플러그 앤 플레이 제품이다. AI를 통해 작업 경로와 순서를 최적화하고 작업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수 협동로봇 간 협업으로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지능형 로봇 솔루션은 물류, 용접, 커피 제조 등 개별 작업 정밀성을 높이고 최적화하기 위해 특화AI(ANI)가 적용된다. 국제 로봇 안전 표준에 기반을 둔 운영으로 유지보수는 더욱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두산로보틱스는 제조 분야 자동화 관련 지능형 로봇 솔루션을 올해 출시하고 단계적으로 분야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실용적 인간형 로봇 사업 진출을 위한 우수 인력 확보에도 나선다. 이달 21일부터 웹사이트와 여러 채용 플랫폼을 통해 로봇 연구개발(R&D),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AI, 소프트웨어, 사용자경험(UX), 품질, 영업 등 전 분야에 걸쳐 대대적으로 경력사원 공개 채용을 진행하기로 했다. 하반기에는 AI·소프트웨어와 휴머노이드 R&D 조직을 신설하고 통합 R&D 센터도 구축할 예정이다.

두산로보틱스가 지향하는 실용적 인간형 로봇은 사용자가 요구한 작업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이다. 여러 팔을 동시에 제어하는 '멀티암' 기술과 충돌 회피, 로봇이 스스로 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여러 단계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한다.

모건스탠리가 낸 '더 휴머노이드 100' 보고서에 따르면 공정 자동화 수요가 늘어나면서 AI 기반 로봇 솔루션 시장 규모는 2030년 약 6조원에서 2040년 약 338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두산로보틱스는 기존 조직이 가진 관성을 깨고 압도적인 실행력으로 명확한 기술 우위와 시장 지배력을 확보하는 '블리츠스케일링(속전속결)' 전략을 추진하고 글로벌 로봇 시장에 핵심 주체로 자리 잡는다는 방침이다. 두산로보틱스는 최근 출범한 민·관·학 인간형 로봇 개발 협력체인 'K-휴머노이드 연합'에도 참여하고 있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47.43 ▼29.98
코스닥 699.11 ▼12.81
코스피200 323.53 ▼4.61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051,000 ▲258,000
비트코인캐시 466,200 ▲466,200
이더리움 2,306,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1,590 ▲50
리플 3,039 ▼4
이오스 917 ▼1
퀀텀 2,840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000,000 ▲229,000
이더리움 2,307,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1,610 ▲40
메탈 1,191 ▲4
리스크 699 ▼8
리플 3,037 ▼6
에이다 885 ▼2
스팀 213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060,000 ▲300,000
비트코인캐시 467,500 ▲2,100
이더리움 2,308,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1,580 ▲130
리플 3,040 ▼2
퀀텀 2,835 0
이오타 22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