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4.19(토)

[CP's View] 삼성·미래에셋 뛰어든 '로보어드바이저', 퇴직연금시장 판 바꿀까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4-18 11:05:51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로보어드바이저 'M-ROBO' 론칭 행사에서 이준용 부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로보어드바이저 'M-ROBO' 론칭 행사에서 이준용 부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을 필두로 국내 주요 연금사업자들이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에 앞다투어 뛰어들고 있다. 수익률 제고와 자산관리 효율화를 내세운 이들의 행보는 노후 준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연금사업자들이 로보어드바이저에 주목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퇴직연금 자산의 효율적 운용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퇴직연금 자산의 약 80%가 원리금보장형 상품에 몰려 있는 상황에서는 적정 수익률 확보가 사실상 어렵다. 개인별 위험성향과 투자목표에 맞춘 자산배분이 더욱 중요해진 것이다.

로보어드바이저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부상했다. 로보어드바이저는 알고리즘 기반 자산배분과 리밸런싱을 통해 개인의 상황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면서도, 인력 의존도를 낮춰 비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퇴직연금처럼 장기 운용이 필요한 자산에서는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일관된 투자 전략이 중요한데, 로보어드바이저가 이 부분에서 강점을 보인다.

그러나 로보어드바이저가 퇴직연금 시장의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아직은 의문이다. 국내 로보어드바이저는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아직 검증 기간이 짧고, 다양한 시장 상황에서의 성과가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다. 특히 급격한 시장 변동기에 알고리즘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또한 투자자들의 인식과 수용성도 중요한 변수다. 디지털 리터러시가 높은 젊은 세대와 달리, 퇴직을 앞둔 중장년층은 자산관리에 있어 여전히 대면 서비스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노후 자금을 맡기는 만큼 신뢰 구축이 중요한데, 기계적 알고리즘에 이를 전적으로 맡기는 것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존재한다.

현행 규제 환경에서 로보어드바이저의 활용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퇴직연금은 안정성을 중시하는 만큼 투자 대상과 방식에 여러 제약이 있다. 이는 로보어드바이저가 보여줄 수 있는 성과의 폭을 좁힌다. 또한 개별 퇴직연금 사업자의 상품 라인업에 따라 로보어드바이저의 자산배분 효율성이 제한될 수 있다는 현실적 한계도 있다.

이 모든 제약에도 불구하고, 로보어드바이저가 퇴직연금 시장에 변화를 가져올 것은 명확하다. 특히 로보어드바이저의 효율성과 인간 자문사의 전문성을 결합한 모델이 주목받을 가능성이 크다. 기본적인 자산배분과 리밸런싱은 알고리즘이 담당하되, 복잡한 세제 혜택이나 은퇴 설계와 같은 종합적 자문은 전문가가 제공하는 방식이다.

간접적인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 로보어드바이저의 등장으로 기존 연금사업자들이 서비스 개선과 수수료 인하에 나서게 되면, 전체 시장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퇴직연금 자산 운용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적극적인 자산관리의 필요성을 일깨운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결국 퇴직연금 시장에서 로보어드바이저의 성공 여부는 기술적 완성도보다는 사용자들의 실질적 필요를 얼마나 충족시킬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 단순한 자산배분을 넘어 개인의 생애주기와 재무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로 발전해 나간다면, 로보어드바이저는 퇴직연금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로보어드바이저가 퇴직연금 시장의 '만능 해결사'가 될 것이라는 기대는 경계해야 한다. 결국 로보어드바이저는 도구일 뿐, 이를 어떻게 활용하고 보완해 나갈지는 연금사업자와 가입자 모두의 몫이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금융교육과 인식 개선이 병행될 때, 비로소 퇴직연금의 본래 목적인 '안정적인 노후 준비'라는 목표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83.42 ▲13.01
코스닥 717.77 ▲6.02
코스피200 328.35 ▲2.05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159,000 ▼31,000
비트코인캐시 488,000 ▼2,100
이더리움 2,307,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2,760 ▼20
리플 3,012 ▼4
이오스 897 ▲1
퀀텀 3,038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088,000 ▼101,000
이더리움 2,310,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2,780 ▼20
메탈 1,203 ▲1
리스크 756 ▼1
리플 3,011 ▼3
에이다 907 ▼1
스팀 21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150,000 ▼50,000
비트코인캐시 488,000 ▼2,700
이더리움 2,308,000 0
이더리움클래식 22,770 ▼70
리플 3,012 ▼4
퀀텀 3,036 0
이오타 23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