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4.24(목)

"하나은행 74억 부당대출 사고...재발 방지에 최선 노력"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4-23 19:43:59

"하나은행 74억 부당대출 사고...재발 방지에 최선 노력"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하나은행에서 74억원대 부당대출 금융사고가 발생해 금융감독원이 수시검사에 착수했다.

하나은행 등에 따르면 하나은행 직원 A씨는 2021년 10월 12일부터 2024년 12월 26일까지 대출 취급 과정에서 여신 거래처와 관련인으로부터 허위 서류 등을 제출받아 과도한 대출을 실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당 대출 규모는 약 74억7천70만원에 달한다. A씨는 해당 거래처와 관련인으로부터 금품을 수수하고, 사적으로 금전을 대여한 것으로도 확인됐다. 하나은행은 현재 해당 직원을 대기발령 조치했으며, 추가적인 인사 조처와 함께 형사 고소를 진행할 예정이다.

하나은행으로부터 사고사실을 보고받은 금감원은 지난주 수시검사에 착수해 금융사고 경위와 정확한 규모 등을 파악 중이다.
금융사고만 터지면 너도나도 '내부통제 강화' 한 목소리

사실 금융사고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난 3월에도 신한은행에서 17억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서울 강남의 신한은행 지점에서 근무하던 직원이 거래업체 명의를 도용해 서류를 위조하고 자금을 빼돌린 사건이었다. 신한은행은 자체 모니터링 중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해당 직원을 수사기관에 고소했다.

신한은행의 금융사고가 외부로 알려진 것은 올해 두 번째 사례다. 지난달에도 외부인에 의한 사기로 약 20억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한 사실이 공시된 바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신한투자증권에서 1300억 규모의 선물매매 손실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사고는 신한투자증권이 고유 자금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ETF 유동성 공급(LP) 역할을 벗어나 한쪽 포지션에 과도하게 치중한 것이 원인이었다. 신한투자증권은 이로 인해 1300억원 규모의 선물매매 손실을 기록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대부분의 금융 수장들이 올해 한결같이 강조하는 것이 바로 '내부통제 강화'다.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은 "올해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 구동"을,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은 "내부통제로 지속가능한 가치 창출"을 주문했다. 양종희 KB금융 회장도 "급변하는 금융 환경에서 신뢰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에만 4건의 금융사고가 발생한 우리금융의 임종룡 회장은 "지난해 내부통제 부족을 인정한다"며, "그룹 전반의 내부통제 체계를 근원적으로 혁신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금융권의 내부통제는 형식적 기준 마련에 치우쳐 실제 운영과 효과가 미흡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금융권의 내부통제는 역할과 책임이 불분명해 사고 발생 시 책임소재가 모호하다"면서, "단기성과 중심의 경영이 내부통제를 형식적으로 만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25.56 ▲38.92
코스닥 726.08 ▲9.96
코스피200 333.94 ▲5.33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2,181,000 ▼963,000
비트코인캐시 508,500 ▼500
이더리움 2,54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3,800 ▼190
리플 3,168 ▼40
이오스 940 ▼12
퀀텀 3,159 ▼3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2,237,000 ▼964,000
이더리움 2,536,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3,820 ▼160
메탈 1,237 ▼17
리스크 760 ▼11
리플 3,169 ▼35
에이다 991 ▼4
스팀 212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2,200,000 ▼860,000
비트코인캐시 508,000 ▼2,000
이더리움 2,54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3,820 ▼180
리플 3,168 ▼40
퀀텀 3,181 ▼55
이오타 27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