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4.25(금)

포스코 '선방' vs 현대제철 '적자전환'

안재후 CP

2025-04-25 13:50:17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국내 철강업계 1·2위 기업인 포스코홀딩스와 현대제철의 2025년 1분기 실적이 엇갈렸다. 포스코는 수익성 개선을 통해 선방한 반면, 현대제철은 파업 영향으로 적자 전환했다. 양사는 중국의 철강 감산과 반덤핑 관세 등으로 시황 개선을 기대하며, 미국 시장 공략과 상호협력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엇갈린 1분기 실적

포스코홀딩스는 1분기에 연결기준 매출 17조 4370억원, 영업이익 5680억원, 순이익 3440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관세전쟁과 경제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판매가격 상승과 원가절감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철강사업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34.7% 증가한 4500억원을 기록했으며, 인프라사업 부문은 포스코인터내셔널 가스전 판매 증가와 발전부문 실적 개선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181.7% 증가한 3070억원을 달성했다.
반면 현대제철은 1분기 연결기준 매출 5조5635억원, 영업손실 190억원, 당기순손실 544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4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적자를 이어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9% 감소했다. 실적 부진은 철강 시황 회복 지연과 노조 파업 영향으로 인한 제품 판매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현대제철의 1분기 판매량은 412만 7000t으로 전년 동기 434만 5000t 대비 5% 감소했다.



철강업계 삼중고와 회복 전망

국내 철강업계는 지난해부터 건설경기 위축 등 수요 산업 부진과 중국산 저가제품 대량 유입으로 어려움을 겪어왔다. 여기에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등 글로벌 관세전쟁까지 더해져 '삼중고'에 직면한 상황이다.

하지만 양사는 2분기부터 철강 시황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의 철강 감산 기조와 경기 부양책, 국내 봉형강 성수기 진입 등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특히 중국·일본산 열연강판에 대한 반덤핑 조사가 실제 규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국내 시황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제철 측은 "빠르면 8월 내 예비 판정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포스코그룹은 장인화 회장 취임 이후 '2Core+New Engine' 전략에 따라 철강, 에너지소재, 신사업 중심으로 그룹 사업을 재편하고 있다. 특히 철강사업은 고성장·고수익 시장 중심으로 현지 거점을 확보하는 '완결형 현지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인도 최대 철강그룹인 JSW그룹과 현지 일관제철소 합작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수익성 중심의 판매 전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3월 발표한 미국 루이지애나주 전기로 일관제철소 투자는 이러한 전략의 일환이다. 약 8조 3000억원을 투입해 연산 270만t 규모의 제철소를 건설할 계획으로, 2029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공장은 현대차·기아를 포함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에 자동차 강판을 현지에서 생산·공급함으로써, 고객사의 탄소저감 소재 수요에 대응할 예정이다.

주목할 점은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상호협력 강화이다. 포스코는 현대제철의 루이지애나 제철소 건설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미국 관세장벽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양사는 철강뿐만 아니라 2차전지 소재 등의 분야에서도 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46.30 ▲23.97
코스닥 729.69 ▲3.61
코스피200 336.87 ▲3.15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086,000 ▲60,000
비트코인캐시 532,000 ▲8,000
이더리움 2,563,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660 ▲20
리플 3,167 ▲1
이오스 972 ▼1
퀀텀 3,294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170,000 ▲128,000
이더리움 2,563,000 0
이더리움클래식 24,690 ▲10
메탈 1,256 ▼6
리스크 785 ▲3
리플 3,168 ▲2
에이다 1,032 ▲1
스팀 21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160,000 ▲160,000
비트코인캐시 531,500 ▲8,500
이더리움 2,564,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680 ▼70
리플 3,167 0
퀀텀 3,500 ▲200
이오타 293 ▲1